반응형

Python 24

파이썬 화면 출력 함수 print()

print() 함수는, 화면에 출력하는 함수다 문자열(str) 을 변수 x, y 에 저장하고,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 print() 함수를 사용했다. 프린트 함수 사용법은? 괄호 안에 변수나, 숫자, 문자열 등을 넣어주면, 화면에 출력한다. 문자열 formating ~~ 고객님, 안녕하세요? 위에서 처럼, 사람 이름만 바뀌고, 나머지 문장은 재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경우를 템플릿이라고 하고, 바뀌는 부분은 변수로 처리해 줄 수 있다. 아래에서, name 과 age 를 변수로 처리하고, 해당 값이 순서대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중괄호 { } 안에, 숫자를 넣어주면, 뒷부분의 변수의 순서 인덱스대로 처리가 가능하다. age 가 0 번 이고, name 이 1 번 이기때문에, print("제 이름은 {0..

Python 2019.09.25

파이썬 변수 사용, 값 할당 및 대입

변수할당은 ( = ) 기호를 사용한다. 왼쪽이 변수의 이름이다. 변수의 이름은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대로 지을 수 있다. 단, 맨 아래의 표에 나와있는 이름은 안된다. 오른쪽이 변수에 저장할 값이다. 따라서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것은,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한다." 라고 해석하면 된다. 위에서, a 와 b 와 c 라는 변수를 만들었고, 그 변수를 가지고 연산을 수행한다. 변수의 이름은, 프로그래머가 마음대로 짓되, 아래의 규칙에 따라서 지어야 한다. 변수 이름(variable naming)은, 다른 사람이 봤을때도 이해가 되도록 가독성 있게 지어야 한다. 그래야 유지보수나 인수인계를 해도, 해당 코드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를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변수의 시작은 영문자나 언..

Python 2019.09.25

파이썬 기본 연산, 나머지, 몫, 거듭제곱 구하는 연산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등의 사칙연산 및 아래처럼 여러 연산이 가능하다. 모듈로 연산(modulo)은, 앞의 숫자를 뒤의 숫자로 나눴을때, 그 나머지를 나타낸다. 모듈로 연산자는 % 이다. 따라서 퍼센트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나머지를 나타낸다. 아래에서 11 % 3 은, 11을 3으로 나눴을때의 나머지를 구하라는 얘기이므로, 나머지가 2 이다. / / 연산은, 앞의 숫자를 뒤의 숫자로 나눴을때, 그 몫이 얼마인지를 구하는 연산이다. 아래에서 10 // 7 은, 10을 7로 나누면, 몫이 1이 나온다. ** 연산은, 앞의 숫자를 뒤의숫자만큼 거듭제곱 하라는 연산이다. 7 ** 4 는, 7의 4승을 하라는 말이므로, 2401이 된다.

Python 2019.09.25

파이썬 기본 데이터 타입 , Python Data Type

파이썬은 다음처럼 3가지의 기본 데이터 타입이 있다. 문자열을 처리하는 str 정수를 처리하는 int 실수를 처리하는 float Python 은 위의 3가지 기본 데이터 타입(data type)을 이용해서 프로그래밍 한다. 값을 변수에 저장하는 방법 대입 연산자( = ) 을 이용해서 저장한다. a = 5 print(a) b = 10.8 print(b) c = 'hello' print(c) 타입(type)을 확인하는 방법 해당 변수에는 어떠한 데이터 타입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파이썬의 내장 함수인 type() 함수를 이용해서 다음처럼 확인하면 된다. print(type(a)) print(type(b)) print(type(c))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int float str 이라고 값이 출..

Python 2019.09.25
반응형